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휴수당 계산법 알아보기

by HouseAdvisor 2024. 12. 8.
반응형

아르바이트나 단기 근로자를 고용할 때, 또는 본인이 근로자로서 받아야 할 임금을 정확히 알고 싶을 때 주휴수당 계산법이 필요합니다.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따라 지급해야 하는 법정 수당이므로, 정확한 계산과 지급은 고용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

이 글에서는 주휴수당 계산법, 지급 예외 사항, 그리고 주휴수당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은 근로자의 근무 시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주40시간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주휴수당 계산법을 달리 하시면 되겠습니다.

주휴수당 간편 계산

위와 같이 주휴수당 계산기도 웹 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

ㅇ계산식: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

ㅇ예시: 하루 8시간, 주 5일 40시간 근무하는 경우

 

8시간 X 9,860원(2024년 최저임금) = 78,880원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

ㅇ계산식: (일주일 소정근로시간 X 8) ÷ 40 X 시급

ㅇ예시: 하루 5시간, 주 3일 총 15시간 근무하는 경우

 

(15시간 X 8) ÷ 40 X 9,860원 = 29,580원

주휴수당 계산법과 예시

2. 주휴수당 지급 예외

모든 근로의 경우에 주휴수당이 지급되는 것은 아닙니다.

주휴수당이 지급되지 않는 주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ㅇㅇ주 15시간 미만 근무
ㅇㅇ해당 주에 하루라도 결근한 경우
ㅇㅇ근로관계 종료 시 (조건에 따라 다름)
ㅇㅇ4주 평균 주 15시간 미만 근무
ㅇㅇ주 40시간을 초과한 근로시간에 대해서는 주휴수당 대신 연장근로수당 적용

단, 지각, 조퇴, 외출의 경우는 결근으로 간주되지 않아 주휴수당이 발생합니다.

3. 주휴수당이란?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주간 소정근로일을 모두 출근한 근로자에게 1일의 유급휴일을 부여하고 지급하는 수당입니다. 


헷갈리기 쉬운 개념과의 비교

ㅇㅇ연장근로수당 vs 주휴수당
   - 연장근로수당: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로에 대한 수당
   - 주휴수당: 주간 근로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

ㅇㅇ주휴일 vs 주휴수당
   - 주휴일: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 부여하는 유급휴일
   - 주휴수당: 주휴일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

주휴수당 계산법, 휴일근로수당과 차이점


ㅇㅇ휴일근로수당 vs 주휴수당
   - 휴일근로수당: 휴일에 근무했을 때 지급되는 수당
   - 주휴수당: 주중 근로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되는 수당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적정한 휴식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정확한 주휴수당 계산법을 숙지하고 적법한 지급을 통해 공정한 근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응형

///////////////////////////////////////////////////////////